매니페스토
매니페스토(Manifesto) 정책선거



- 매니페스토란 선거에 임하는 정당이나 후보자가 유권자에 대한 계약으로서의 구체적인 목표, 추진 우선순위, 이행방법, 이행기간, 재원조달방안을 명시한 공약을 말합니다.
- 이에 대하여 유권자는 정당ㆍ후보자의 공약을 비교하여 실현가능성이 가장 높은 공약을 많이 제시한 정당이나 후보자에게 투표하는 것입니다.
- 그리고 선거일 후 당선자는 선거 때 제시한 자신의 공약을 실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유권자는 당선자가 제시한 공약의 이행상황을 평가하여 다음 선거에서의 지지여부를 결정하자는 것이 매니페스토 정책선거 추진운동입니다.
매니페스토 정책선거 흐름
-
공약작성
-
공약비교
-
공약실천
-
공약이행평가
-
지지여부 결정
매니페스토(Manifesto)의 유래
- 라틴어의 '마니페스투스(manifestus)'에서 나온 말로 당시에는 '증거' 또는 '증거물'이란 의미로 쓰였습니다.
-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로 들어가 마니페스또(manifesto)가 되어 '과거 행적을 설명하고, 미래 행동의 동기를 밝히는 공적인 선언'이라는 의미로 사용 되었습니다.
- 오늘날에는 주로 선거와 관련하여 출마자가 유권자에게 앞으로의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공약'을 의미합니다.
- 요즘에는 정치적인 목적에서 뿐만 아니라 결혼이라던지 우리 실생활에서 매니페스토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매니페스토(Manifesto) 사례

우리나라
- 2006년 5월, 4대 지방선거를 계기로 후보자들의 공약이 구체성을 띠고 있으며, 실현 가능한 ‘제대로 된 공약’인지 여부로 평가하는 매니페스토 운동이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습니다.
-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www.manifesto.or.kr) 등 관련단체에서 펼치고 있는 한국형 매니페스토 운동은 중립적인 입장에 서서 출마자의 과거행적을 살펴보고 그의 미래 계획을 검증해 보면서 유권자들의 현명한 판단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 또한, 선거 이후에는 주기적으로 당선자의 약속이행 여부를 스스로 발표하게 하고 유권자들과 함께 꼼꼼히 따져보며 다음 선거에서 선택의 기준을 삼는 것입니다.

영국
- 의회 정치의 본고장, 매니페스토 운동이 가장 먼저 시작한 나라입니다.
- 매니페스토의 개념을 1834년 보수당 당수 로버트 필은 [유권자들의 환심을 사기 위한 공약은 결국 실패하기 마련]이라면서 구체화된 공약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시작하였으며,
- 1997년 노동당의 토니 블레어가 매니페스토 10대 정책의 구체적 제시가 집권 성공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습니다.

미국
- 미국에서는 매니페스토를 ‘플랫폼’(platform)으로 부르고 있으며, 1992년 대선에서 민주당 클린턴 후보가 국내 경제정책과· 의료ㆍ복지개혁을 쟁점으로 내걸면서 ‘미국 재생의 시나리오’란 부제를 달아 매니페스토를 출판한 것이 대선승리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일본
- 일본은 2003년 4월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매니페스토를 제시한 다수의 후보자가 당선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여
- 2003년 11월 중의원선거부터는 중앙선거로까지 확산되었으며, 2009년 8월에는 민주당이 매니페스토를 통하여 54년 만에 정권교체에 성공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