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 북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하는 핵심 요소인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객관적 선진 행정을 구현하고자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해오고 있습니다.
- 2020년에 실시한 빅데이터 자체 분석 결과들을 다양한 인포그래픽으로 만나보세요.


전동보장구 충전을 위한
'행복충전소', 얼마나 있을까?

북구 관내 총 23대의 행복충전소 운영 중 ※2020.9.18. 기준
※ 전동보장구 : 배터리를 원동력으로 사용하여 변속장치와 제동장치가 있는 보행보조용 의자차
※ 행복충전소(전동휠체어급속충전기) : 전동보장구의 빠른 충전을 위해 운영 중인 충전소명
행복충전소 설치 확대 필요!

매년 증가하는
전동보장구 사용자 수

충전소 수요대비 공급부족에 따른
효율적 장소 선정 필요

최적의 우선설치 장소
도출을 위한 분석 수행
최적의 설치 장소는 어디인가?
9종의 데이터 요인별 가점화를 통한
우선 설치지역 분석
타 지자체 설치지 특성을 학습한
딥러닝 분석

총 52곳의
행복충전소 우선설치지역 도출
행복충전소 우선설치지역 도출

총 52곳의
행복충전소 우선설치지역 도출
행복충전소 우선설치지역 도출

빠르고 편리한 행복충전소 설치 확대

빅데이터 분석결과
참고하여 설치공간 파악

확보된 예산 활용 &
주민참여예산

행복충전소 설치
확대 추진 예정

우리 동네 행복충전소는 어디에?

대구 북구 생활지도
전동휠체어급속충전기
(buk.daegu.kr/map)

휠누리앱
(휠링보장구협동조합)


불청객 같은 '감염병' 사전 예방이 중요
분석배경
감염병 및 방역 취약지역 분석을 통해 방역망을 구축하고
감염병 사전 차단 및 예방으로 감염 확산에 따른 피해 감소
감염병 사전 차단 및 예방으로 감염 확산에 따른 피해 감소



감염병 감염
확산 방지 필요
확산 방지 필요

방역 민원 증가
방역 범위 방대
방역 범위 방대
감염병 위험지역은 어디인가?

감염병
발생현황
발생현황

건축, 교육
시설현황
시설현황

인구
데이터
데이터
6종 5개년 데이터 활용

취약지 우선 방역! 우리동네 해충 박멸!
매개해충 방역 민원을 활용한 딥러닝 분석으로 방역취약지역 예측




쾌적한 북구, 살기 좋은 북구를 위하여
- 매개해충 방역차량 운행 경로지정 및 취약지 우선 방역 실시
- 감염병별, 지역별 예방 및 위생관리 교육 실시
- 감염병 행태개선 사업, 소독사업 계획 수립 시 참고



북구에서는 민원을 얼마나 처리하고 있을까?
분석배경
상담민원의 지속적 증가 추세에 따른
민원 업무 처리 효율성 제고 및 선제적 민원 대응 기반 마련
민원 업무 처리 효율성 제고 및 선제적 민원 대응 기반 마련
전자민원 접수현황

2020년 유형별 접수현황

전자민원 현황 파악을 위한 다양한 분석
부서별 민원 접수현황
※ 2018. 1. ~ 2019. 8. 기간 민원데이터 활용

지역별 민원 접수현황

민원키워드 워드클라우드

구민 만족, 행복 북구 실현을 위한 우리의 노력
- 반복제기 예상 민원 원인파악 및 선제적 조치
- 키워드를 활용한 민원 처리부서 자동지정 기능구축으로 접수시간 단축
- 민원 분류 효율 향상을 위한 민원 신고 창구 기능개선 요청
- 민원행정 및 제도계선계획 수립 시 분석 결과 반영



도시의 눈 CCTV, 적절한 위치선정이 중요
분석목적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으로 범죄 가능성 예측 기반의
관제 취약지역 도출 및CCTV 설치 장소 선정의 기초자료로 활용
관제 취약지역 도출 및CCTV 설치 장소 선정의 기초자료로 활용
빅데이터 분석절차
01.데이터 수집

CCTV 설치현황,
CCTV 설치민원,
인구 데이터,
주택 · 상가현황 등
02.설치지수 산출

감시취약지수, 범죄취약지수, 가중치 산정하여 설치지수 산출
03.필요지역 도출

지도 격자별 설치지수 집계, CCTV 필요지역 도출
CCTV 우선 설치지역은 어디?
CCTV 설치지수에 따라 우선 설치 필요 지역 551곳 선정
※ 북구 지역 100X100 격자로 나눈 총 9,744개 격자 중 상위 5%에 해당
CCTV 필요지역 분포

CCTV 필요지역 상세

살기 좋은 북구 조성을 위한 분석결과 활용은?
- 신규 CCTV 설치 계획 수립 시 제공
- 기존 CCTV 위치 이전 검토 시 참고
- 체계적인 CCTV 운영 관리 방안 마련 시 활용


오른쪽으로
밀어주세요
밀어주세요
- 담당부서 : 정보통신과
- 연락처 : 665-3092
- 최종수정일 : 2022.12.07